본문 바로가기
경제

스타링크 한국 서비스 가격

by binprojob 2023. 5. 6.

스타링크가 23년 하반기 부터 한국에 서비스를 한다고 합니다. 스타링크는 무엇이고 한국에서의 서비스 가격은 얼마정도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타링크 한국 서비스 가격

스타링크를 이용하려면 두가지 요금을 내야 합니다. 하나는 위성신호를 받을 안테나 대여료, 또다른 하나는 스타링크를 사용하는 월 사용료 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책정된 요금은 장비 대여료가 499달러 (60만원), 월 이용료는 99달러 (13만원) 입니다.

한국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인터넷 사용요금과 비교하면 장비 대여료도 월 이용료도 부담되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스타링크의 목적이 전세계를 아우르는 사각지대가 없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망을 만드는 것인만큼 한국에도 서비스를 해야하는 입장이어서 가격 할인에 대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기업이나 군정부에서의 수요는 여전히 있기 때문에 민간 수요는 포기하고 서비스를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산지나 바다 등 오지에서도 기업이나 군정부의 수요는 있기 때문입니다.

 

2. 스타링크의 개념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전파를 주고 받을 중계기나 광통신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이 모든게 땅위에 설치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땅위의 중계기 같은 경우는 전파가 건물이나 산 등에 막힐 가능성이 있고 케이블의 경우에는 땅에 긴 길이를 깔아야 하므로 공사비가 많이 소요 됩니다.

그래서 중계기가 설치되지 못 하는 산, 바다 등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기가 힘듭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중계기를 전파 방해가 없는 우주에 띄워 이용하자는 개념이 스타링크 입니다. 우주에는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전파의 송수신이 무리가 없고 지상에 중계기만 있다면 아무리 오지라도 우주를 통한 전파를 송수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론 머스크는 스페이스X를 통해 우주에 인공위성을 엄청나게 띄우고 전세계를 아우르는 스타링크를 만들려고 하는 것입니다. 이런 생각이 허무맹랑 하지않다는 것이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증명이 됐습니다. 전쟁 중에 인프라가 망가진 우크라이나에 일론 머스크는 스타링크 중계기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 군은 인터넷을 통한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3. 스타링크의 부정적인 면

지금까지의 설명만 보면 진짜 혁신적이고 우리의 삶을 한단계 높여줄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타링크가 아직까지 해결해야하는 점들이 있습니다.

 

1) 우주쓰레기 문제

스타링크 생태계를 만들려면 우주에 빈틈이 없는 인공위성 network가 구성되어야 합니다. 그 말은 엄청난 수의 인공위성을 우주에 쏘아 올려야 한다는 말이고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은 지구로 추락할 수도 있게 됩니다. 또 이미 우주에 있는 다른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들과의 충돌문제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스타링크 인공위성은 수명이 다해서 떨어질 때 대기권에서 마찰로 인한 열로 연소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른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과는 고도가 다른 낮은 고도에서 위치하기 때문에 충돌 문제도 어느정도 해결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스타링크 측에서도 예상 가능했던 문제 이기에 어느정도 해결방안을 가지고 운영을 하고 있으나 아직은 100% 완벽한 해결책이라고 보기는 힘드리라 생각 됩니다.

 

2) 빛공해 문제

최근에는 대기오염 때문에 도시에서는 별을 많이 보기 힘들어졌는데, 가끔씩 밤하늘에 반짝이는 것들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별 보다는 인공위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많은 수를 띄우는 스타링크의 인공위성은 우주에서의 빛공해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이게 무슨 문제냐 할 수 있으시겠지만 우주를 연구하는 과학자들 입장에서는 이 인공위성 때문에 제대로된 연구를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스타링크 측에서도 인공위성을 코팅하여 쏘아 올려 최대한 빛공해를 줄이는 방안 등으로 대비하고 있고 더 나은 방안들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3) 인구밀도 높은 곳에서의 속도저하

스타링크는 애초에 땅위의 인프라 부족으로인한 인터넷 사각지대를 타겟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지에서의 인터넷 사용은 스타링크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으나,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의 성능은 상대적으로 낮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인프라도 잘 되있어서 가성비에서 부족할 수도 있고 어짜피 우주에서 지상으로 쏘는 중계기는 정해져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으면 그만큼 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

댓글